틀린 문제를 꼼꼼히 살펴보고 다시는 틀릴 일 없게 잘 기억해둡시다!

 

자바스크립트 테스트 - 데이터 불러오기

01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var x = 100; 
    var y = 200; 
    var z = "javascript"; 

    console.log(__);
    console.log(__);
    console.log(__);

    //100
    //200
    //300
}
정답
x, y, x+y

02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let x = 100;
    let y = 200;
    let z = "javascript";

    x = ___;   
    y = ___;
    z = ___;

    console.log(x);
    console.log(y);
    console.log(z);

    //300
    //400
    //jquery
}
정답

300, 400, "jquery"


03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let x = 100;
    let y = 200;
    let z = "javascript";

    x ___ 300;       
    y ___ 400;       
    z ___ "jquery";  

    console.log(x);
    console.log(y);
    console.log(z);

    //400
    //-200
    //javascriptjquery
}
정답

+=, -=, +=


04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const arr = ________();   

    arr[0] = 100;               
    arr[1] = 200;               
    arr[2] = "javascript";     

    console.log(arr[0]);
    console.log(arr[1]);
    console.log(arr[2]);

    //100
    //200
    //javascript
}
정답

new Array


05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const arr = [___________________];    

    console.log(arr[0]);
    console.log(arr[1]);
    console.log(arr[2]);

    //100
    //200
    //javascript
}
정답

100, 200, "javascript"


06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const obj = new Object();

    obj[0] = 100;
    obj[1] = 200;
    obj[2] = "javascript";

    console.log(______);
    console.log(______);
    console.log(______);

    //100
    //200
    //javascript
}
정답

obj[0], obj[1], obj[2]


07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(console.log를 사용할 것)

{
    const obj = new Object();
    
    obj.a = 100;
    obj.b = 200;
    obj.c = "javascript";

    _____________________
    _____________________
    _____________________

    //100
    //200
    //javascript
}

 

정답

console.log(obj.a);

console.log(obj.b);

console.log(obj.c);


08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const obj = {____________________};

    console.log(obj.a);
    console.log(obj.b);
    console.log(obj.c);

    //100
    //200
    //javascript
}

 

정답

a: 100, b: 200, c: "javascript"


09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const obj = [
        {a:100, b:200},
        {c:"javascript"}
    ];

    console.log(________);
    console.log(________);
    console.log(________);

    //100
    //200
    //javascript
}
정답

obj[0].a , obj[0].b, obj[1].c


10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const obj = {
        a: 100,
        b: [200, 300],
        c: "javascript"
    }
    console.log(________);
    console.log(________);
    console.log(________);

    //200
    //300
    //200300
}
정답

obj.b[0], obj.b[1], obj.b


11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

{
    const a = 100;
    const b = 200;
    const c = "javascript";

    const obj = { _________ }

    document.write(obj.a);
    document.write(obj.b);
    document.write(obj.c);

    //100
    //200
    //javascript
}
정답

a, b, c


12.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! (오답)

{
    const obj = {
        a: 100,
        b: [200, ____],
        c: "javascript",
        d: _________(){
            document.write("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.");
        },
        e: function(){
            document.write( _______ + "가 실행되었습니다.");    //변수값 사용
        },
        f: function(){
            document.write( _______ + "가 실행되었습니다.");    //this를 사용
        }
    }

    document.write(obj.a);
    document.write(obj.b);
    document.write(obj.b[0]);
    document.write(obj.b[1]);
    document.write(obj.c);
    obj.d();
    obj.e();
    obj.f();

    //100
    //200,300
    //200
    //300
    //javascript
    //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.
    //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.
    //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.
}
정답

300, functionm obj.c, this.c

오답노트

여기서 바보같은 실수를 .. ㅜㅜ

this.c를 this라고만 적었습니다. 

 

this의 개념이나 쓰임을 아직 모르는 듯 싶으니 정확히 짚고 넘겨보겠습니다!

 

😣this

  • this란 JavaScript 예약어.
  •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(self-reference variable)이다.
  •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.
  • this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생성된다.
  • this는 코드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다.
  • 하지만 this는 객체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하기 위한 자기 참조 변수이므로
    일반적으로 객체의 메서드 내부 또는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만 의미가 있다.
  • 함수를 호출하면 인자와 this가 암묵적으로 함수 내부에 전달된다.
  • 함수 내부에서 인자를 지역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, this도 지역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.
  • 단, this가 가리키는 값, 즉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.
  • 크게 전역에서 사용할 때와 함수안에서 사용할 때로 나눌 수 있다.

😣여기서 바인딩이란?

  • 식별자와 값을 연결하는 과정을 말한다.
  • 변수선언은 변수 이름과 확보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바인딩하는 것이다.
  • this 바인딩은 this(키워드로 분류되지만 식별자의 역할을 한다.)와 this가 가리킬 객체를 바인딩하는 것이다.

this만 쓰지 않고 뒤에 꼭 객체의 키 값(이름)을 적어줘야한다는 걸 꼭 익혀야겠습니다!

 


13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

{
    for( let i=1; i<10; i++){
        if(i % 2 == 0) {
            document.write(i);
        }
    }
}
정답

2468


14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

{
    for( let i=1; i<10; i++){
        if( true ) {
            document.write(i);
        }
    }
}
정답

123456789


15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

{
    const func = function(){
        document.write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");
    }
    func();
}
정답
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


16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

{
    if( 1 ){
        document.write("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true)");
    } else {
        document.write("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false)");
    }
}
정답

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true)


17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

{
    let num = 10;

    if( num == 100 ){
        document.write("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1)");
        if( num == 100 ){
            document.write("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2)");
            if( num == 100){
                document.write("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3)"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 else {
        document.write("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4)");
    }
}
정답

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.(4)


18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(오답)

{
    let num = 10;

    (num == 100) ? document.write("true") : document.write("false");
}
정답

false

오답노트

ㅋㅋㅋ..또 멍청한 실수를 해버렸습니다...

이번 문제는 삼항연산자에 관한 문제였는데

결과값을 적어야하는 걸 실행문 전체를 쓰고 자빠졌으니....

 

다 풀고 항상 다시 한 번 보는 습관을 가져야겠습니다!!!

 

😣삼항 연산자 작성법

(조건문) ? true실행문 : false실행문


19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

{
    let num = 0;
    while( num <= 5 ){
        document.write( num + ".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.");  
        num++;
    }
}
정답

0.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.

1.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.

2.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.

3.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.

4.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.

5.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.


20.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.

{
    const str = [100, 200, 300, 400, 500];

    str.forEach((element, index, array) =>l {
        document.write(element);
        document.write(index);
        document.write(array);
    });
}
정답

100 0 100 200 300 400 500

200 1 100 200 300 400 500

300 2 100 200 300 400 500

400 3 100 200 300 400 500

500 5 100 200 300 400 500

 

문제들과 답을 다시 살펴보며 공부해봅시다~ 

아좌좌

!

728x90
반응형
다쭐◠‿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