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~~??

오늘은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!

 

크게 나누면 변수, 상수, 배열, 객체 각각 데이터 저장하기가 있는데요, 한 번 하나씩 살펴보러 가볼까용?

 

🎀 변수

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입니다.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지만 변경추가가 가능합니다.

 

 

데이터 저장

데이터 변경

 

데이터 추가

 

연산자 : 변수로 연산이 가능합니다.

변수로 이용해서 연산이 가능하고, 연산에는 산술 연산자, 대입 연산자,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, 비트 연산자, 삼항 연산자가 있습니다.

 

🎀 상수

상수는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지만, 변경이 불가능합니다.

상수는 이미 선언한 상수에 대해 중복 선언이 불가능하며 상수의 값을 재지정할 수도 없습니다.

 

 

값이 출력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🎀  배열_(표현방법 1)

배열은 데이터를 여러 개 저장할 수 있습니다.

배열 객체(Array)를 이용하거나 대괄호 문법([ ])을 사용하여 배열을 생성합니다.

 

🎀  배열_(표현방법 2)

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여러 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

new Array()에 데이터를 ","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방법입니다.

 

🎀  배열_(표현방법 3)

new Array를 생략하고 인덱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입니다.

 

🎀  배열_(표현방법 4)

new Array를 생략하고 대괄호 안에 데이터를 ","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방법입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1)

객체는 데이터 값을 필요한대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객체의 데이터는 키(이름): 값으로 이루어 있으며 이것을 속성이라고 합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2)

숫자 대신 문자 a, b, c에 값을 직접 선언하는 방법입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3)

 new Object를 생략하고 중괄호를 써서 객체를 선언하는 방법입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4)

객체 선언 코드를 생략하고 중괄호 안에 키와 값을 직접 입력해 저장하는 방법입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5)

배열 안에 객체가 있는 구조는 밑의 방법으로 불러옵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6)

여러 개의 속성에서 지정된 값만 출력하려면 밑의 방법으로 불러옵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7)

키의 값만 배열해 출력이 가능합니다.

 

🎀  객체_(표현방법 8)

객체 안에는 함수인 실행문이 들어갈 수 있는데, 실행문을 실행시켜줄 때 쓰는 방법입니다.

 

오늘은 이렇게 데이터 저장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알아보았습니다~!!

도움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많이많이 달아주쎄요!! (╹ڡ╹ )

728x90
반응형
다쭐◠‿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