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이터 제어하기의 여러가지 종류들을 살펴보겠습니다!! 

양이 좀 많지만..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ㅎㅎ;

 

데이터 제어하기

데이터 제어하기의 종류에는 모두 12가지가 있는데요!

(if문, if문 생략, 다중 if문, 중첩 if문, 삼항연산자, switch문, while문, do while문, for문, 중첩 for문, continue문, break문)

 

하나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당~~

 

 

🚫if문

if문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으로서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할 코드를 작성합니다.

if(조건){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 (true)");
    } else {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 (false)");
    }

값에 따라 true, flase 나누어짐

  • true : 0을 제외한 숫자, 문자열, [ ], { }, true
  • flase : 0, null, undefined, false, " "(빈 문자열)

 

🚫if문 생략

기존의 if문에서 중괄호를 생략하여 간단하게 쓸 수 있습니다. 

const num = 100;

// if(num){
// 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true)");
// } else {
// 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false)");
// }

// 주석 처리된 부분 중 괄호를 생략하여 아래의 표현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if(num)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true)");
else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false)");

 

🚫삼항연산자

소스가 복잡할 경우 기존의 if문보다 삼항 연산자를 통해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.

조건이 true일 경우 처음 나오는 값을 출력하고 flase일 경우 그 다음의 값을 출력합니다.

const num = 100;

// if(num == 100){
//     document.write("true");
// } else {
//     document.write("false");
// }

// 주석 처리된 부분을 삼항 연산자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(num == 100) ? document.write("true") : document.write("false")
(조건문) ? true 실행문 : false 실행문;

 

🚫다중 if문

다중 if문은 if문을 여러 개 쓸 수 있습니다. 하나의 값을 실행하면 나머지 if문을 종료합니다.

const num = 100;

if(num == 90){
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num == 90)");
} else if(num == 100){
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num == 100)");
} else if(num == 110){
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num == 110)");
} else if(num == 120){
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num == 120)");
} else {
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");
}

num을 100으로 정하고 난 뒤, 첫 번째 조건에 충족하지 못하여 건너뛰고, 다음 두 번째 조건에 충족하여 값을 출력하였습니다.

 

🚫중첩 if문

if문을 중첩해서 쓸 수 있지만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
const num = 100;

if(num == 100){
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1)");
    if(num == 100){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2)");
        if(num == 100){
    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3)");
        }
    }
} else {
   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(4)")
}

🚫switch문

복수의 if 조건문은 switch문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. switch문을 사용한 비교법은 특정 변수를 다양한 상황에서 비교할 수 있게 해줍니다.  코드 자체가 비교 상황을 잘 설명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.

const num = 100;

switch(num){
    case 90: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90");
        break;
    case 80: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80");
        break;
    case 70: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70");
        break;
    case 60: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60");
        break;
    case 50:
        document.write("실행50");
        break;
    default:
    document.write("0");
}

// 조건에 맞는 값이 있으면 break를 써서 끝냅니다.

🚫while문

while문은 소스 코드를 입력한 배열 혹은 객체의 속성에 맞게 반복하여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.

for문과 같은 반복문이지만 표현 방식이 다릅니다. (for문으로 변경 가능)

for(let i=0; i<5; i++){
    document.write(i);
}

// 기존의 for문을 사용

let num = 0;             
while(num<5){           
    document.write(num);
    num++;              
}

// while문을 사용

🚫do while문

조건에 따라 반복을 계속할 지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while문과 동일합니다. 다만, 무조건 중괄호 { } 블럭을 한 번 실행하고, 조건을 검사하여 반복을 결정합니다.

let num = 0;
do {
    document.write(num);
    num++;
} while (num<5);

🚫for문

for문은 같은 동작을 쉽게 반복하는 반복문입니다. for문은 반복횟수를 정확히 알고있을 때 주로 쓰입니다.

for(let i=1; i<100; i++){
    document.write(i);
}
for(초깃값; 조건식; 증감식){실행문}

🚫중첩 for문

중첩for문은 for문을 여러 번 쓸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중첩 for문을 이용한 25칸 테이블 만들기 예제입니다.

let table = "<table border='1'>";
let num = 1;

for(let i=1; i<=5; i++){
    table += "<tr>";
    for(let j=1; j<=5; j++){
        table += "<td>"+num+"</td>";
        num++;
    }        
    table += "</tr>";
}

table += "</table>";

document.write(table);

🚫break문

반복문 안에서 위와 같은 break 문을 만나면 실행의 흐름은 반복문을 빠져나가서 반복문 다음으로 이동하게 됩니다.

for(let i=1; i<20; i++){
    if(i == 10){
        break;
    }
    document.write(i);
}

🚫continue문

continue가 실행되면 continue문 아래의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건너뛰고 반복문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다음 반복을 시작합니다.

for(let i=1; i<20; i++){
    if(i == 10){
        continue;
    }
    document.write(i);
}

 

실행문의 위치

break문과 continue문은 실행문의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.

 

 

오늘은 이렇게 데이터 제어하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~
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~!!q(≧▽≦q)

728x90
반응형
다쭐◠‿◠